
1. 결막염 결막염은 눈을 외부에서 감싼 점막 조직을 이야기합니다. 눈과 안검을 결합하는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결막염이라고 합니다. 결막염이 생기는 원인으로는 세균, 클라미디아, 바이러스, 리케챠, 진균, 기생충, 아토피, 화학제품, 자외선, 먼지 등이 있습니다.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 세균성 결막염, 바이러스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단순포진바이러스 결막염, 클라미디아 결막염 임질 구균성 결막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결막염이 발생한 원인에 따라서 증상에는 차이가 있지만 보통 1주일간의 잠복기를 거친 후 눈 가려움, 눈물, 충혈,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경우에 따라 안구 통증, 이물감, 발적, 부종, 눈곱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부종, 결막 하 충혈 등의 증상이 생기기도..

1. 설탕에 대한 오해 설탕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천연 탄수화물입니다. 설탕은 주로 사탕수수 줄기나 사탕무에서 정제되며, 정제 과정 중에 표백과 결정화 공정을 거치면서 비타민이나 미네랄이 없는 무색, 무취의 단맛을 내는 가루가 만들어집니다. 우리가 시중에서 접하는 설탕이 바로 이 정제된 가루입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설탕은 비만, 당뇨병 등 다양한 건강 문제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설탕이 부정적인 면만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설탕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설탕자체를 나쁜 요인으로 생각하고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우리가 섭취하는 모든 설탕이 동일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가공식품과 설탕이 함유된 음료 등에 포..

1. 스트레스와 불안 요즘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정신건강은 매우 중요한 요인중 하나입니다. 스트레스와 불안이 적절히 관리되지 않을 경우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주게 됩니다. 스트레스와 불안은 사람에게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반응이지만 정도가 지나치고 지속될 경우에는 정신적, 육체적으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이 나타나게 됩니다. 불안은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과도한 걱정과 두려움을 수반하고 때로는 명확한 이유 없이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트레스와 불안의 근본 원인을 아는 것만으로도 증상을 관리하는데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는 정신적 신체적 자극으로 인해 변화를 일으키는 정신적 김장감을 뜻합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나 환경에 놓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상황과 환경을 ..

1. 위염 위염은 많은 사람들이 흔하게 겪고 있는 질병이며 위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위염은 크게 급성과 만성으로 나누어집니다. 급성 위염은 심한 외상, 수술, 감염증, 쇼크 등과 같은 스트레스, 아스피린, 진통소염제, 알코올 등 약물 복용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염이 있을 경우 복통, 소화불량, 속 쓰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질 경우에는 심한 출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급성위염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치료도 어렵지 않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해 위염이 발생했을 때는 약을 복용하면 위염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아스피린, 진통소염제 등 약을 먹은 후 발생하는 위염은 원인 물질인 약물 복용을 멈추면 좋아집니다. 만성위염은 주변에서 흔히 볼..

1. 비염 비염은 콧물, 재채기, 가려움증, 코막힘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나타나는 비점막의 염증성 질환을 이야기합니다. 통증, 재채기,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의 발생 유무에 따라 진단이 이루어집니다. 비염은 크게 급성 비염과 만성 비염, 위축성 비염으로 나누어집니다. 급성비염은 흔히 감기라고 이야기하는 감염성 비염을 의미합니다. 만성 비염은 발생 원인에 따라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나뉘며 만성 비염의 원인으로 알레르기 비염, 비강 구조의 이상, 자율신경계 불균형, 호르몬 이상, 약물, 정서 불안등이 있습니다. 만성 비염은 완전한 치료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비동염이나 편도에 생긴 만성 염증으로 인해 비염이 오랫동안 지속되거나 면역력이 낮아져 비염이 제대로 치료되지..

1. 치핵(치질) 항문관 안에 있는 점막하 근육으로 불리는 쿠션이 있고, 변실금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반복되는 배변과 배변 시 힘을 주는 습관등으로 인해 점막하 조직을 압박하게 되어 울혈이 생기고, 항문 주위에 조직이 변성되면서 조직의 탄력도가 감소하면서 항문과 주변에 덩어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변을 볼 때 이 덩어리가 상처를 입고 출혈이 생긴 후 점차 아래쪽으로 내려오면서 커져 항문이 빠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질은 의학적 용어로 치핵이라고 불리며 내치핵과 외치핵으로 구분됩니다. 내치핵은 정맥울혈이 항문과 내로 돌출한 후 가끔 출혈이 생기는 1도 치핵, 항문 입구로 치핵이 내려왔다가 변을 본 이후 저절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2도 치핵, 항문 입구로 빠져나오거나 밀어 넣어야 다시 들어가는 3..

1. 여드름 여드름은 만성 염증질환으로 모낭 속에 고여 딱딱해진 피지인 면포, 1cm 미만 크기의 솟아 오른 피부병변인 구진, 고름물집, 결절, 거짓낭 등 다양한 피부 변화가 나타나며 이후 흉터를 남기기도 합니다. 여드름은 피지선이 모여있는 얼굴, 목, 가슴 등에 많이 발생하며 털을 만드는 모낭에 붙어있는 피지선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발생시기는 보통 사춘기 시기에 발생하며 사춘기 청소년의 85%에서 여드름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남자는 15~19세, 여자는 14~16세 사이에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여드름은 한 가지 원인보다는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사춘기에는 남성호르몬의 과잉으로 피지선의 분비가 왕성해지고 모낭의 상피가 각화증을 일으켜 이로 인해 모낭이 막히게 되고 여드름이 형성됩니다..

1. 저체중 비만만큼이나 저체중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비만이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고 알고 있지만 저체중도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저체중은 키와 몸무게 등 여러 요소를 고려했을 때 상대적으로 몸무게가 적게 나가는 것을 뜻합니다. 체질량 지수라고 불리는 BMI는 키 대비 체중을 평가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BMI=체중 KG/신장(m) X신장(m)으로 계산됩니다. BMI 계산을 통해 18.5 미만으로 나올 경우를 저체중으로 분류하지만 BMI는 체지방과 근육량을 고려하지 않은 결과이기 때문에 정확한 결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저체중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을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유전의 요인으로 선천적으로 마른 ..

1.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낮아지거나 부족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발생 원인으로는 갑상선 자체에 문제가 생겨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 갑상선에서 호르몬을 만들도록 하는 신호에 문제가 발생하여 갑상선 호르몬 생산이 줄어드는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저하로 인한 증상으로는 신생아나 소아시기에는 변비, 성장장애, 발달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청소년과 성인에서는 만성피로, 식욕 부진, 체중 증가, 추위, 변비 등이 생길 수 있습니다. 피부가 건조해지기도 하며, 여자의 경우에는 생리 주기에 변화가 생기고 생리양이 많아지게 됩니다. 젖분비 호르몬인 프로락틴 수치를 증가시켜 유즙이 분비될 수 있습니다. 갑상선 호르..

1. 비만 비만은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이야기합니다. 체중은 많이 나가지만 근육량이 적고 지방량이 많은 경우를 비만이라고 부릅니다. 지방 조직의 주요 성분은 혈장에서 유입된 지방산과 포도당이 에스테르화한 중성지방을 말합니다. 비만은 오랜 기간에 걸쳐 에너지 소비량에 비해 영양소를 과다 섭취할 경우 에너지 불균형에 의해 비만이 유발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식욕 조절 중추 기능에 문제가 있거나, 쿠싱증후군과 같은 내분비 질환, 식욕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약제에 의해서도 비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에너지 소모량에 비해 에너지 섭취량이 많을 경우 발생합니다. 칼로리가 높은 음식을 많이 섭취하고 신체활동을 적게 하는 생활이 비만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보고 있으며 ..